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도치란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.
예를 들면,
Here is three dollars. 혹은 So do I. 와 같은 문장을 말합니다.
도치가 어떤 것인지 대~애충 감을 잡았으니, 이제 유형에 따라 정리해볼까요?
첫번째는 문장의 맨 앞에 강조하고자 하는 표현을 두어 도치가 일어나는 유형입니다.
1)은 never를 비롯해 not, no, few, little, hardly, scarcely 등이 올 때, 도치가 일어나는 걸 보여줍니다.
2)은 hardly, scarcely, barely가 '~하자마자 '의 의미일 때, 문장의 첫머리에 와서 주어와 동사가 도치될 수 되는 걸 보여줍니다.
두번째는 습관적으로 도치가 일어나는 유형입니다.
1)의 So do I나 2)의 Neither do I가 대표적이죠~
그 외에는 1)과 2)처럼 가정법 if 절의 (조)동사가 were이나 had인 경우에 if를 생략하며 주어와 동사를 도치하죠~
위와 같이 should가 if절에 쓰이면, 주어와 should가 도치됩니다.
오늘은 이렇게 도치가 어떤 뜻이고, 어떻게 쓰이는 지를 알아보았습니다.
그럼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~ See you soon!
서울영어과외,광진구 영어과외,송파구 영어과외,강동구 영어과외,성동구 영어과외,개인 영어과외,그룹영어과외,영어 개인지도,김쌤영어
문의 : kimssam861@gmail.com
[김쌤영어] 현재완료 have pp의 용법 (0) | 2022.06.07 |
---|---|
[김쌤영어] I wish 가정법/ as if [though] 가정법 (0) | 2022.06.07 |
[김쌤영어] 문장의 5형식이란? (0) | 2022.06.07 |
[김쌤영어]서울영어과외,광진구 영어과외,송파구 영어과외,강동구 영어과외,성동구 영어과외,개인 영어과외,그룹영어과외 (0) | 2022.06.03 |
[김쌤영어]서울영어과외,광진구 영어과외,송파구 영어과외,강동구 영어과외,성동구 영어과외,개인 영어과외,그룹영어과외,영어 개인지도 (1) | 2022.06.03 |
댓글 영역